세션
[6-A] 2012년 동북아 정치변동과 동북아 신질서 구축
날짜
- 6.2(토)
시간
- 09:00 ~ 10:20
기관
- 동아시아재단
장소
- 크리스탈 홀 A
2012년은 정치적 변동의 해입니다. 남북한, 중국, 미국, 러시아, 일본, 대만 등에서 이미 정권교체가 이루어졌거나, 선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. 이러한 정치적 변동이 아시아 특히 동북아의 새 질서 구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시각에서 논의합니다.
- 미국은 중국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아시아 국가들이 중국의 독자적 입장 강화에 반대하도록 규합하려는 미국의 노력에 동조하도록 어떻게 그들의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가?
- 최근의 자료는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액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. 이 같은 공동의존적 미-중 관계의 발전을 어떻게 전망하는가?
- 러시아는 6자회담 중단 이후에 대북 영향력을 상실했는가? 러시아가 보여준 북한 핵 관련 대미 협력정책과 이란의 핵 관련 제재조치 반대정책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?
- 일본의 영토문제 주장에 대해 한국의 입장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? 한국은 중-일 해양경계선 분규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가?
- 보시라이 추문은 외국 정부와 투자자들의 중국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? 이 스캔들은 중국 권력층의 순조로운 권력이양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인가?
- 미국이 2011년 11월 APEC정상회담을 처음으로 주최하고 아시아 지역의 군사력을 강화하는 조치를 취했다는 사실에 중국의 반응은 무엇인가?
- 사회
나얀 찬다 (예일대학교 세계화연구예일센터 소장)
- 발표 및 토론
존 아이켄베리 (프린스턴대학교 정치학 교수)
노다리 시모니아 (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 교수, 前 IMEMO 소장)
스타인 퇴니쓴 (前 오슬로평화연구원 원장)
김영희 (중앙일보 대기자)
장 샤오밍 (북경대학교 국제학대학교 교수)
- 라포터
윤대엽 (한국고등교육재단 학술기획부장)
- 미국은 중국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아시아 국가들이 중국의 독자적 입장 강화에 반대하도록 규합하려는 미국의 노력에 동조하도록 어떻게 그들의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가?
- 최근의 자료는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액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. 이 같은 공동의존적 미-중 관계의 발전을 어떻게 전망하는가?
- 러시아는 6자회담 중단 이후에 대북 영향력을 상실했는가? 러시아가 보여준 북한 핵 관련 대미 협력정책과 이란의 핵 관련 제재조치 반대정책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?
- 일본의 영토문제 주장에 대해 한국의 입장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? 한국은 중-일 해양경계선 분규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가?
- 보시라이 추문은 외국 정부와 투자자들의 중국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? 이 스캔들은 중국 권력층의 순조로운 권력이양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인가?
- 미국이 2011년 11월 APEC정상회담을 처음으로 주최하고 아시아 지역의 군사력을 강화하는 조치를 취했다는 사실에 중국의 반응은 무엇인가?
- 사회
나얀 찬다 (예일대학교 세계화연구예일센터 소장)
- 발표 및 토론
존 아이켄베리 (프린스턴대학교 정치학 교수)
노다리 시모니아 (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 교수, 前 IMEMO 소장)
스타인 퇴니쓴 (前 오슬로평화연구원 원장)
김영희 (중앙일보 대기자)
장 샤오밍 (북경대학교 국제학대학교 교수)
- 라포터
윤대엽 (한국고등교육재단 학술기획부장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