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션
[4-D] 국제개발협력: 글로벌 공공재와 동북아시아의 ODA
날짜
- 6.1(금)
시간
- 15:40 ~ 17:00
기관
- 한국국제협력단, 세종연구소
장소
- 크리스탈 홀 D
빈곤 감소가 국제사회에 공동이익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ODA는 글로벌 공공재의 성격을 갖습니다. 국가 간 그리고 영역 간 상호 의존과 연계가 점차 심화되는 세계화 시대에 정보 및 지식의 교환 그리고 상호 협력 네트워크의 구축은 생존과 번영에 필수적인 요건이 되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한국, 일본, 중국의 대외원조 관련 전문가와 연구자를 초청해, 글로벌 공공재 공급을 목적으로 한 동북아 3국 ODA정책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발전방안을 논의하고자 합니다. 첫 발표에서는 한국의 ODA 정책과 글로벌 거버넌스를 주제로, 그리고 둘째 발표에서는 중국의 ODA 정책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됩니다. 발표 및 종합토론은 세션 34에서 계속됩니다
- 사회
홍승목 (한국국제협력단 이사)
- 발표
박은하 (외교통상부 개발협력국 국장) “한국 ODA정책과 글로벌 거버넌스”
왕이환 (중국농업대학교 교수) “중국대외원조: 역사적 발전, 구성, 도전”
- 토론
카라사와 마사유키 (일본국제협력기구 개발파트너십 실장)
김기정 (연세대학교 교수)
최진우 (한양대학교 교수)
유웅조 (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)
- 라포터
문경연 (중앙대학교 연구교수)
- 사회
홍승목 (한국국제협력단 이사)
- 발표
박은하 (외교통상부 개발협력국 국장) “한국 ODA정책과 글로벌 거버넌스”
왕이환 (중국농업대학교 교수) “중국대외원조: 역사적 발전, 구성, 도전”
- 토론
카라사와 마사유키 (일본국제협력기구 개발파트너십 실장)
김기정 (연세대학교 교수)
최진우 (한양대학교 교수)
유웅조 (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)
- 라포터
문경연 (중앙대학교 연구교수)